반응형

스스로에 대한 공부, 기록을 남기고자 오랜만에 글을 남깁니다.

 

24년 불안한 지표들, 끝나지 않는 국가 간 갈등, 환율의 상승,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발생, 유지되고 있는데요

현재까지 수익률을 한번 점검하고자 합니다.

또한, 5/2일 내일 있을 FOMC 전 5/1일 주가가 한번 크게 흔들린 경향이 있어서 간단히 짚어보고자 합니다.

 


1. 24년 4월 누적 수익률

 

 

계절성을 보면 4월이 가장 힘든 달인데도 불구하고 24년 장 초반에 많이 떨어졌어서 그런가 전체적인 누적 수익률도 약 4% 수준을 보이고 있고, 4월에도 + 형태로 마감하였습니다.

또한 IAU인 금 ETF가 많이 올라 비중을 조금 낮추고 떨어진 채권 부분을 일부 매수하여 리밸런싱을 1회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항상 누적 수익률을 보면 다른 자산군과 비교할 때마다 다른 자산군에 투자하는 올웨더에 기반한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행복한지를 체감합니다.

 

S&P는 3월까지 무섭게 올라 10까지 올라갔다가, 최근 하락세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나스닥도 S&P와 거의 유사한 수준입니다.

 

반대로 코스피의 경우에는 시작점인 1월1일 대비 1 수준으로 오르긴 했지만 최대낙폭이 -8까지 떨어졌습니다.

제 자산군은 -4까지 떨어진 것에 비해 많이 오르지도 않은 상황이네요

 

24년 수익률을 점검해보면,

 -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환율이 많이 상승하였지만, 미국 시장은 올랐다. 불안할 수록 국내장 보단 미장이 더 좋다...

 - 반대로 환율의 상승으로 자산군은 전체적인 이득을 보았다

 - 한 자산군에 투자하면 더 많이 올를 수도, 더 많이 내릴 수도 있다. 올웨더가 아니더라도 적절한 자산군의 분배는 필수적이다

정도로 정리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5/2일 FOMC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올해부터 빠르게 금리가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던 연초와는 다르게 최근에는 금리 인하는 시기 상조라는 분위기를 모두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금리가 내려가지 않을 걸 모두 알고 있음에도 FOMC 하루 전인 5/1일 시장의 변화가 놀라웠습니다.

 

 

보통 FOMC 전 날에는 모두 숨죽이며 횡보를 하는 경향이 있는데 마치 무엇인가를 알고 있는 것 같이 무섭게 떨어져

1.57% 하락 마감을 하였습니다.

일반 시장 참여자들은 모르는 무엇인가가 있기 때문인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딱히 내릴만한 요소는 없었습니다.

굳이 하나를 뽑자면,

 

 

미국 고용비용지수가 높다는 것 하나 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용을 위해 지불하는 비용이 예측치보다 높다는 뜻이고, 한번 오른 임금이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는 있습니다만, 크게 영향을 미칠 요소는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내일 FOMC 결과가 어떨지 궁금하고 걱정되기도 하네요


그럼 모두 성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24년 1월 FOMC 결과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결과적으로는,

1. 매파적인 흐름 

2. 3월 금리인하는 없을 것

 

두가지로 추려질 것 같습니다.

 


 

먼저 금리는 기준금리인 5.25% ~ 5.50%로 동결입니다. 하지만 이는 모두가 예상했기 때문에 큰 Impact가 있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위원회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지속 가능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더 큰 확신을 얻기 전까지는 2%로 인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즉, 금리 인하의 적절성은 더 천천히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뜻이죠

저번 FOMC에서는 당장이라도 금리를 인하할 것과 같은 뉘앙스를 풍겼던 것과 굉장히 대조대는 발언입니다.

다만, 올해 중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부분은 명확히 한번 더 이야기 했죠 (다만 그게 언제...?)

 

경기가 소프트랜딩이 가능할지는 모르겠다는 이야기를 전달했습니다. 인플레이션에서 핵심 지표 중 하나인 코어 인플레이션(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이 제외된)을 포함해서 아직은 갈길이 멀다는 입장입니다.

 

 

시장에서 봤을 때는 금리 결정 시기인 3월에는 금리 동결 가능성을 가장 높게 봤습니다.

다만, 연내 금리 인하 전망치를 봤을 때는 Fed의 최대 3회 정도의 금리 인하와는 달리 최대 6회 정도의 금리 인하 가능성까지 보고 있습니다. 그만큼 경제를 조금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관점에서 보면 어떨까요?

파월이 3월부터 당장 금리를 인하해야 겠다고 발표했다면, 단기적으로 시장은 상승을 할 수 있지만 반대로 그만큼 Soft Landing(안정적인 경기 회복)이 아닌 경기 침체에 대한 압박으로 금리를 내린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번에 금리를 내리지 않는 것은 그만큼 경기 침체에 대한 압박이 없기 때문에 충분히 시장을 관찰해 보고 결정한다고 볼 수도 있겠죠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악영향일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그럼 모두 성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연기금은 어떻게 투자할까요?

 

23년 기준 국내 / 해외 모두 투자 실적이 좋았던 한해입니다.

 

연기금 또한 많이 올랐을텐데 23년은 어떤 성과를 올리고 어떻게 투자 했는지 한번 보도록 하죠

 


 

23년은 약 10%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23년 시장이 좋았던 만큼 국내와 해외 주식이 많이 뛰었네요

 

 

23년 S&P는 384에서 475로 약 24% 올랐습니다.

 

코스피도 2250에서 2655로 약 18% 수준으로 올랐었습니다.

 

아무래도 금액 단위만큼 분산투자를 많이 하고, 그 중에서도 우량주 위주로 투자하는만큼 S&P나 코스피 만큼의 수익률을 보이진 못했네요

 

그럼 '23년 국내 주식은 무엇을 많이 팔고 많이 샀을까요?

 

 

'22년 기준 섹터별 포트폴리옵니다.

 

 

삼성전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었네요

 

 

23년 순매도와 순매수 수량과 금액입니다.

 

'22년 말 기준 24.8조를 들고 있는 삼성전자를 1조 가량 팔았으니 전체 물량의 4% 수준을 팔았네요

그리고 2위를 차지했던 LG에너지솔루션을 0.24조 가량 더 매수하면서 5.4조에서 5.6조 수준으로 4% 수준의 물량을 늘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3년 부진으로 떨어진 주식을 매수해서 성장 가능성에 조금 더 투자 한 것으로 보이네요

 

'24년에도 연기금의 포트폴리오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섹터별 비중에서 떨어진 것을 사고 오른 것을 파는 형태로 비중을 조절할 것 같네요

 

참고로 연기금의 매수 매도를 보기 위해선 키움증권 영웅문에서

투자자별일별매매종목 → 연기금등 으로 들어가서 보시면 일자별로 매수 매도 종목을 보실 수 있습니다.

 

퀀트와 같이 가치투자를 하는 분들에게는 연기금의 투자 현황은 크게 궁금하지 않겠지만, 우량주 위주로 사시는 분들에게 연기금의 투자 방식은 꽤나 유용할 것도 같습니다.

 

'23년도 그랬듯이, '24년도 다사다난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

'24년도 벌써 1월이 지나갔지만 모두 성투하시는 한해가 되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번쯤 궁금할만한 내용을 엑셀로 정리해서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1월에 주식 시장의 흐름에 따라서 1년은 어떻게 변할까?

 

2. 미국 대선 시기에는 미국 주식의 변화는 어땠을까?

 

저는 S&P500인 SPY를 기준으로 했고, 자료는 1993년부터 볼 수 있는 Yahoo Finance를 활용했습니다.

 

https://finance.yahoo.com/quote/SPY/history?p=SPY

 

1. 1월의 주가 변동에 따른 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구분 S&P 상승 S&P 하락 상승 비중 하락 비중
1월 오른경우 14 4 78% 22%
1월 내린경우 8 5 62% 38%

 

 - 1월에 S&P가 올랐을 때 연간 기준으로 S&P는 78%의 확률로 오르고, 22%의 확률로 내립니다.

 - 1월에 S&P가 내렸을 때 연간 기준으로 S&P는 62%의 확률로 오르고, 38%의 확률로 내립니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1월에 오르던, 내리던 전체적으로 '연간 기준으로 S&P는 상승할 확률이 높다' 혹은 '1월 효과'가 어느정도 있다고 보여진다 정도로 이야기 해 볼수도 있겠네요

 

2024년의 1월은 또 최고치를 찍으며 상승 중입니다. 여러 경제적인 위기 요소들이 있지만, 확률 상으로는 상승할 여력이 꽤나 높다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2. 미국 대선 시기에 주가 변화

 

대선일자    
2024    
2020 51.76999 상승
2016 24.54999 상승
2012 17.35 상승
2008 -56.09 하락
2004 9.82 상승
2000 -16.25 하락
1996 12.96875 상승

 

1996년부터 2020년까지의 결과를 보면 7번 중 5번의 상승, 2번의 하락이었습니다. 다만 2번의 하락 시기에는 2000년 닷컴버블, 2008년 리만브라더스와 같은 매우 큰 경제위기가 있었던 시기였습니다.

즉, 경제 대공황과 같은 시장의 큰 변화가 없으면 대부분 상승한다라고 보여질 수도 있겠네요

 


최근 일부 지표들이나 예멘 반군의 수에즈 운하와 같은 세계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사건,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고, 2023년 전반적인 시장 상승으로 인한 조정 기간과 같은 부정적인 요소가 있습니다.

반대로 위에서 본 것처럼 확률 적으로 긍정적인 요소도 보이네요

 

2024년에도 투자를 할지 말지가 아니라, 어떻게 투자할 지 고민하고 그만큼 성과를 거두는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투자를 공부하고 수행하며 블로그로 글을 남기는 첫 해가 되었습니다.

 

오랜만에 23년도에 올렸던 글을 쭉 한번 다시 읽어봤는데, 정말 다사다난하면서 불안하고, 두렵고, 힘들었던 순간도 정말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23년도는 비교적 장이 다 좋게 흘러가서 대부분이 비교적 좋은 한 해를 볼 수 있지 않았나 싶긴 합니다.

 

저 또한 제 스스로 공부할 겸 연말 결산을 통해 글을 남겨 놓을까 합니다.

 


 

3

 

 

12월, 연간 기준 수익률입니다. 그래도 장이 좋은 흐름을 토대로 전반적으로 좋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그 중에 제가 좋아하는 듀오링고가 크게 제 생각보다 더 많이 올라 비율 조정을 했음에도 수익률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수익률이 의미 있다기 보다는, 제 투자 방식에 대해 점검해볼까 합니다.

 

 

순서대로 연간 기준으로 코스피, S&P500, 나스닥과의 변동율을 비교한 사진입니다.

단순히 보면 코스피보다는 제 투자 방식이 더 올랐고, S&P와는 비슷했고, 나스닥은 이번에 10월 이후 크게 올라 제 투자 방식보다 거의 2배에 가까운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변동율은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말 기준 수익률이 비슷한 S&P와 비교해보더라도 엄청 최대 낙폭이 굉장히 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론 비슷한 수익율을 나타냈지만, 파란색인 KOSPI는 낙폭이 굉장히 크고, 주황색인 제 투자 방식은 상승할 땐 맞춰서 상승하지만, 하락할 때는 다른 자산군으로 인해 비교적 안정적으로 방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물론 전문 투자자나 여러 자산이나 개별 주식에 대한 분석과 이해도가 뛰어나신 분들은 더 높은 수익율을 경험하실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시장의 흐름에 투자하는 저 같은 입장에서는 지금과 같은 투자 방식이 더 옳다고 느끼는 한해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는 당연히 올웨더에 기반한 투자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그 중에서 여러 시장이나 제 의견에 따라 비율이나 ETF를 조절해가며 분기 단위 정도로 리밸런싱을 통해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모두 올 한해 잘 마무리하시길 바라며, 내년에는 더 많은 좋은일과 수익율이 나는 한 해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주식 시장에 모든 걸 예측하기는 언제나 절대 못한다지만...

 

결과에 대한 생각은 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7/20에 시작한 미국 시장에 큰 하락이 있었습니다.

 

올해는 비교적 장이 좋았어서 그런지 오랜만의 큰 하락이 더 크게 다가오는 것 같네요

 

물론 올 한해 주식 시장이 좋았어서 간단한 조정이 왔다고 가볍게 느낄 수도 있지만.. 그래도 이유를 찾아보자면

 

1. 고용 지표

2. 2분기 실적 발표

정도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1. 고용 지표

7/20에 발표한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를 살펴보면 예측치 대비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즉, 고용 시장이 강하다는 뜻이겠죠

이 말은 서비스 관련 인플레이션이 지속 된다는 뜻이고 이 말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어 금리를 올려도 되겠다는 FOMC의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의견이 될 소지가 강하기 때문에 발표 후 시장의 하락을 가져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2. 2분기 실적발표

여전히 핫한 주식인 테슬라를 한번 살펴보면,

순이익 27억3,000만달러 / 총매출 249억 2,700만달러(YOY 47%)로 높은 성장을 보였지만, 영업이익률은 9.6% 수준으로 지난해 15% 수준 대비 5%p 낮은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또한 일론 머스크는 금리가 계속 오르면 자동차 가격을 낮출 수 밖에 없다는 언급을 하였으므로 지속적인 이익률 하락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가치를 사는 주식이 떨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환율이 그래도 1,260원대 까지 떨어졌다가 1,289원 선으로 올라오면서 적당히 방어를 해주고 있는 것 같네요

 

최근 엔화가 909원까지 떨어져서 가지고 있는 CMA 금액 중 일부를 엔화로 환전할까 고민 중에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스로 정리하기 위해 올리는 4월 투자 손익 결산

 

4월에는 전체적으로 수익률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듀오링고의 상승이 돋보였고, 채권 종류에서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4월까지 일부 추가된 CMA 현금 / 배당 주식을 포함해 전체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하였습니다.

 

많이 오른 듀오링고를 일부 판매하고 현금성 자산을 더해 미 장기채와 원자재 ETF를 일부 추가 매수하여 밸런스를 조정했습니다.

 

코스피, S&P500, 환율의 변동률과는 어떨까요?

코스피나 S&P도 올해 기준으로 12.4%, 9%씩 상승을 했네요. 전반적인 상승장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율 또한 5.7% 상승해서 S&P와 환율의 상승을 더한 14.7%보다 조금 더 높은 15.87% 수익률인 것이 나타나네요

코스피나 S&P보다 MDD(Max Draw Down), 즉 최대 낙폭이 굉장히 안정적인 포트폴리오임에도 불구하고 이번 4월에는 더 높은 수익률이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을 경험하는 한달이 되었습니다.

 


FOMC 결과나 여러 영상, 자료를 보니 5월에 하락을 조심하라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실제로도 큰 폭은 아니지만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네요...

 

참고로 리밸런싱 주기는 명확한 주기가 정해져 있다기 보다 월별 결산을 통해 밸런스 조정이 필요하다 싶을 때 조정을 하고 있습니다. 아니면 현금성 자산이 많이 들어와서 밸런스가 필요할 때 정도인 것 같네요.

 

최근 회사 이직 후 야근이 많아 지면서 차트를 보거나 공부를 할 기회가 더 많이 줄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올웨더 기반 포트폴리오의 중요성과 감사함을 더욱더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제 투자 관련 공부를 조금씩 다시 병행하면서, 다른 부수입을 얻을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음이 더욱 절실히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럼 이번달도 모두 성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내 과거의 판단이 미래에 맞았는지 확인하고, 실수를 조금씩이라도 바꿔나가기 위해 하는 투자 결산

 

3/31일자 기준으로 정리해본 투자 금액입니다.

 

수익률 정리

올해 주식이 전체적으로 많이 다시 회복하고 있습니다. 올웨더 기반의 포트폴리오임에도 올해에만 벌써 14%가 넘게 상승했네요 물론 아직 올해가 이제 막 1분기를 끝난 시점이긴 하지만 기분은 좋습니다.

본격적으로 투자를 시작한 22년 1월부터 수익률을 봐도 항상 푸른색이었는데... 붉은색이 보이네요

 

1. 듀오링고

듀오링고는 워낙 장기간 보유할 생각으로 평단이 떨어질 때마다 가지고 있는 달러로 조금씩 추가 매수를 하며 평단을 낮췄는데.. 생각보다 너무 빨리 오르고 있습니다.

원화기준 수익률이 56% 수준이네요

하지만, 더 오랜기간 주식 보유랑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을 녀석이라 팔 생각은 없지만, 좋은 기회가 되어 제 수익률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고마운 녀석입니다.

 

2. CMA

올해 원화는 약 500만원 정도 더 입금. 더 아끼고 저축해서 CMA 비중을 자연스레 높이자....

 

3. 채권

금리가 오르면서 채권 종류 가격이 많이 하락했습니다. 금리가 앞으로도 조금씩은 상승하고, 언제 다시 2%대의 평균 금리로 내려올지는 미지수이지만, 전체적인 비중은 계속 변함없이 가져가려고 합니다. 다른 비중에 대한 확신과 공부가 아직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조만간 CMA 비중에서 달러로 다시 바꾸고 채권위주의 구매를 통해 리밸런싱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물론 흐름이나 상황을 잘 읽고 더 많이 버신 분들도 있지만, 저는 잘 모르는 사람이기에...

경제 공부는 꾸준히 하되, 투자는 장기적으로 현재와 같이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고자 합니다.

 

요새 공부하고자 하는 마음이 조금 꺾인 것 같은데 꾸준히 다시 공부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