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 바쁘다는 핑계로 꾸준히 관련 자료는 보고있었지만 글을 올리진 않았네요
최근 다양한 이슈나 Risk로 인해 주식과 암호화폐 시장이 흔들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먼저 이슈를 체크해보고 시장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1. 오미크론에 따른 영향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15_0001688387&cID=10101&pID=10100
WHO "오미크론, 대부분 나라 퍼졌을 것…현 77개국서 발견"(종합)
[서울=뉴시스] 신정원 이혜원 기자 =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신종 변이 오미크론이 현재 77개국에서 발견된 상태지만, 실제 대부분 나라에 이미 퍼졌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www.newsis.com
WHO에서는 이미 대부분의 나라에 오미크론이 퍼졌다고 전달하였습니다.
'유래없는 속도'라며 단순 델타 바이러스와 유사하게 잠깐 지나가겠지만 문제 없을거야라는 생각에 금이 가며 Risk 요소가 증가했다고 보여집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1/12/1113390/
오미크론 확산한 남아공서 일일 확진자 200명에서 1만명선으로 폭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오미크론 변이가 처음 보고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코로나 확진자수가 폭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영국 언론 BBC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남아공의 일
www.mk.co.kr
또한 남아공에서는 확진자수가 폭증하여 일일 확진자수가 1만명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2. FOMC
FOMC가 16일 새벽 기준으로 발표가 났습니다.
FOMC에 대한 자세한 리뷰는 별도로 작성할 계획입니다.
결론만 먼저 말씀드리면 FOMC 전에는 여러 우려로 하락이 있었지만, 발표가 난 이후에는 테이퍼링 기간 단축, 금리 인상 등 여러 요소가 있었음에도 걱정거리가 사라졌다고 생각이 든건지, 아니면 이미 선반영이 되어 있던건지 바로 상승장으로 돌입했습니다.
3. 인플레이션
FOMC 에서도 나왔듯이 더이상 인플레이션이 'transitory', 즉 일시적인 것이 아닌 단계별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조치를 해야하는 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
실제로 11월, 12월 모두 인플레이션 지수가 6%를 넘어섰으며 특히 11월의 경우 예측치를 상회하는 인플레이션으로 모두 걱정이 앞섰죠
이에 대한 시장의 변화는 어땠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P 500은 11월 인플레이션 예측치 대비 실측치 상승, FOMC 우려, 오미크론 등으로 하락세가 있었지만 오히려 반등하며 전고점을 돌파했네요
11/23일 고점 대비 오미크론,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3000 궤도에 올랐던 코스피지수가 2900선도 붕괴되면서 하락이 있었는데요. 이후에는 다시 반등하며 현재도 3000선에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장과 달리 한국은 지속적인 상승이 아니라 횡보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면서 조금 더 Risk에 큰 변동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현재에는 미국장이 답일까요...
인플레이션과 같은 우려의 Hedge 수단이 될 수 있을까에 대한 큰 관심이 많은 가상화폐입니다.
하지만 이번 가상화폐 또한 여러 Risk 속에서 그대로 주식과 같은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아무래도 점점 가상화폐가 자산으로서의 인정을 받게 되면서 보다 더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해졌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자산과 다를바 없는 그냥 하나의 또 다른 자산이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우려도 있습니다.
자료를 정리하며 현재는 아무래도 미국장이 조금 더 안정적이면서도 상향하는 자산으로 보여집니다.
여러 변동성 속에서도 모두 성투하세요!
'금융,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12월 마이데이터 실시 후 그 상황은? (0) | 2021.12.22 |
---|---|
21년 12월 FOMC 결과 (0) | 2021.12.21 |
파월 연준 의장, 연임 확정! (0) | 2021.11.26 |
10월 첫 계좌 인증! (0) | 2021.11.07 |
연기금은 어디에 투자할까? (2탄) (0) | 2021.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