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말 너무 오랜만에 글을 쓰는 제 자신을 보며 반성하게 됩니다...

 

22년 5월 FOMC 성명서가 발표되어 간단하게 오늘은 요약본으로 정리만 해두려고 합니다.

 

주요한 사항은 크게 2가지 였다고 생각됩니다.

 

1. 금리는 0.5bp 인상 (연방기금 금리 목표치 : 0.75 ~ 1.00%)

 - 대부분이 예상하고 있던 금리인상 수치였습니다.

 

2. 금리 75bp 상승하는 자이언트 스텝은 없을 것

 - 일부 기관에서는 금리의 자이언트 스텝이라고 불리는 75bp 상승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이번 FOMC에서 이는 고려대상이 아님을 확실하게 이야기하여 FOMC 성명서 발표 후 상승장을 이끌었습니다.

 

그 외에도 나왔던 이야기를 살펴보면,

 

 - 가계 지출과 기업 투자는 강한 상태. 고용률도 견고함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중국의 봉쇄로 인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위험도가 여전히 높음

 

 - 긴축에 대해 6월부터 보유량을 축소할 것

 

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

 

현재 현재 공급망에 차질을 지속적으로 야기하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봉쇄는 사실 FOMC에서 통제할 수 없는 외부적인 요소로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어느정도 더 지속될지 모르겠네요

 

FOMC 성명서 발표 이후 전체적으로 장이 상승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전체적인 장 하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무엇이 장을 파랗게 물들게 하는지도 확인해보고 공유해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분기마다는 연기금은 어느 종목에 투자했고, 수익률은 어떤지 가져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분기별 국내 매매종목은 직접 확인할 수 있으니 영웅문으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매도한 종목을 살펴보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연기금이 보유하고 있는 Top10 종목위주로 많이 팔았네요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투자종목을 많이 털어낸 것 같습니다. 매년 3분기에 작년도 투자종목의 비중을 공개하니

3분기에 21년도 비중이 어떤지도 확인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매수종목은 살펴보니 에너지분야, 원자재 및 운송 분야를 많이 매수한 것 같습니다.

 

연기금은 전체 운용 자산이 900조 이상이고, 국내 주식만 150조 이상을 굴리는 대형 투자자인데요

대형 투자자임에도 불구하고 작년에는 10%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다면 22년 1월 기준으로 수익률이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약 3.8%의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금액만 36조원에 달하죠

 

연기금의 투자현황을 보면 국내, 해외 주식과 채권에 다양하게 분산 투자하고, 해외 주식도 여러 나라별로 다양하게 분산 투자를 함에도 불구하고 하락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같이 하락을 했습니다.

 

그렇다면 코스피와도 함께 비교해보죠

 

코스피는 1월에 10% 이상의 하락을 경험했습니다.

 

벤치마크대비 수익률을 보면 국내 주식의 경우 KOSPI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우량주 위주로 연기금도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동일한 하락을 경험했지만, 다양한 분야의 투자로 인해 전체적인 수익률을 보면 훨씬 잘 방어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자산 배분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알려주네요

 

이런 글을 쓸 때마다 저 또한 방어적인 투자방법이 저와 가장 잘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모두 1분기 투자 잘 마무리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성투하시는 2022년 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에 블로그를 또 한동안 너무 놔 버렸던 제 자신을 반성하며...

 

22년 3월 FOMC 리뷰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FOMC 성명서를 쭉 읽어보고 느낀 가장 큰 점은 아래와 같지 않을까 싶습니다.

 -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확대

 - 그에 따른 금리 상승 전망치에 대한 변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그에 맞춰 인플레이션을 잠재우기 위해 단기, 장기적으로 금리의 상승 확대폭이 커진 것을 이번 성명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간단히 FOMC 리뷰를 드리며 내용을 같이 살펴볼까 합니다.

 

 - 인플레이션은 팬데믹, 높은 에너지 가격, 광범위한 가격의 압력과 관련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금번 FOMC를 통해 0.25%p 금리 인상했으며 22년에 약 2%p 정도의 금리까지 올릴 예정이다.

 

이번 FOMC에서 나온 새로운 금리에 대한 점도표입니다.

22년에는 무려 2%p, 23~24년도는 그보다 더 높은 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가 보이고 보다 더 장기적으로는 연준에서 목표로하는 2%p 정도의 금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23~24년에는 더 높은 금리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여 장기적으로는 연준의 장기적인 목표인 2%p 정도 수준을 유지하려고 한다가 될 것 같습니다.

 

작년에도 썼던 21년 12월 FOMC 점도표를 가지고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22년 1%p 정도의 금리 인상을 예상했지만, 인플레이션의 가속화와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다양한 압박으로 인해 금리에 대한 연준의 의견이 굉장히 많이 바뀐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만약 22년에 2% 정도의 금리를 유지하기 위해선 앞으로 약 7번의 금리를 인상시켜야 합니다. 굉장히 빠르죠

 


또 이번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이 Diffusion Index 입니다.

 

1에 가까울 수록 연준에서 예상한 인플레이션보다 더 높은 수치가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지표인데요

 

실제로 발표치와 예측치를 보면 대부분이 예측치보다 상회하는 CPI 인플레이션 지표가 발표되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습니다.

 


미국의 긴축, 금리 인상 예고, 불안정한 예측으로 인해 여전히 시장은 흔들리는 상황 속이라고 보여집니다.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항상 성투하시는 올 한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12월에 계좌 결산을 올리고 2개월 만에 결산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최근 러시아 침공으로 인한 경제 불안, 그로 인한 원유 급등,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제가 많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저는 12월부터 2월까지는 외부 증액 없이 내부적으로 비중만 조금 변화시켰습니다. 일부 조금 비중이 떨어진 종목은 사고 오른 종목은 팔았습니다. (사고나서 오른 종목은 많이 없지만요.... ㅎㅎ)

 

저는 미래에셋증권을 쓰고 있구요. 미래에셋에서 자산을 자동으로 원화로 계산해줘서 환산된 원화 기준으로 금액을 산출하고 있습니다.

 

일단 12월 대비 역시 하락했네요. 12월 대비 수익률은 -3.85%입니다.

 

현금 + 주식 비중을 40% 정도로 두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12월 결산 이후 CMA의 돈을 달러로 바꿔 주식, 채권, 현물 일부를 더 샀습니다.

 

주식과 채권은 비중만 맞췄고 현물 ETF에는 조금 더 비중을 높여서 구매를 했었죠

 

12월 구매했을 때 대비 환율이 조금 올랐고, 현물, 특히 금이 많이 올랐습니다.

주식과 회사채, 국가채는 전체적으로 안좋았습니다.

 

그렇다면 코스피와 S&P500의 변화는 어땠을까요?

 

귀차니즘이 심하여 그냥 엑셀에서 제가 작성한 자료를 가지고 온점... 죄송합니다... ㅎㅎ

 

12월 코스피는 2977.65에서 2월 말 기준 2699.18이 되었네요. 9.35%가 하락했습니다.

 

S&P500의 경우에는 12월 4766.18에서 4373.94로 8.23%가 하락했습니다. 큰 차이 없이 둘다 하락장을 맞이했네요

 


수익률은 하락했지만, 제가 기준으로 잡고 있는 코스피와 S&P500보다는 비교적 방어를 했다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장은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변화가 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제 2월장이 끝났으니 현금으로 추가로 가지고 있는 일부 금액을 CMA계좌에 추가만 해놓고

조금 더 시장을 관망할 것 같습니다.

잦은 리밸런싱을 수행하게 되면 결국 떨어지는 자산을 매입하게 되는건데 너무 자주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또한 3월에는 금리 인상에 대한 뉴스도 있고 아직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도 계속 진행 중이니 조금은 전망 후 하반기 쯤 리밸런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럼 모두 꾸준히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더욱더 시장이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경제 혹은 투자 관련 youtube를 보시면 이러한 상황 속에서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입니다.

 

왜 경제가 불안하고, 경제 위기가 올 것 같은지 확인할 때 장단기 금리차를 보는걸까요?

저도 공부하면서 알게된 내용들을 하나하나씩 적어내려가보겠습니다.

 

1. 장단기금리차란?

장단기 금리차이는 미국의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의 금리 차이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장기채권은 10년물 채권, 단기채권은 2년물 채권을 의미하죠

 

2. 장단기금리 어디서 볼까?

장단기 금리차이는 FRED (Federal Reserve Bank)라는 곳에서 무료로 제공합니다.

 

 - 홈페이지 접속 : https://fred.stlouisfed.org/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 FRED | St. Louis Fed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6,000 US and international time series from 107 sources.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6,000 U

fred.stlouisfed.org

 - 가운데 검색창 밑에 Browse Data by 에서 Category 클릭

 - Money, Banking, & Finance 에서 Interest Rate 클릭

 - Interest Rate Spreads 클릭

 -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에서 Daily 혹은 Monthly 클릭

하시면 차트를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onthly로 확인해본 장단기금리차이입니다.

 

검은색 음영처리가 된 곳은 경기가 침체된 구간을 의미합니다.

 

장단기금리차가 (-)가 된, 즉 역전된 이후로 짧게는 약 1년, 길게는 3년 내외로 경기 침체가 왔습니다.

결국 장단기금리차이가 역전이 되면 평균적으로 1~3년 내로 경기 침체가 온다라고 보여지네요

그렇다면 장단기금리차 역전은 경기 침체의 선행지표라고 보여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하게 생각되는 지표중 하나죠

 

3-1. 장단기금리차가 축소될 때는?

단기채권은 만기가 짧고 장기채권은 만기가 깁니다. 그럼 아무래도 장기채권의 금리가 더 높아야 하는건 당연하겠죠

그런데 경제가 불안하고 주식 시장이 안좋습니다. 그렇게 되면 비교적 안전자산인 장기채권으로 자산이 몰리게 됩니다.

10년물 국채의 경우에는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채권의 가격이 높아지면 금리가 낮아지므로 장기채권의 금리가 계속 낮아지게 되고, 그러다 보면 장단기금리차이가 줄어들게 됩니다. 정말 상황이 안좋으면 계속 장기국채의 금리가 내려가고 역전 되는 현상도 일어나게 됩니다.

 

3-2. 장단기금리차가 확대될 때는?

반대로 확대될 때는 10년물 국채의 금리가 올라갈 때, 즉 국채를 팔아서 가격이 하락할 때입니다.

첫째로는 경기가 개선되면서 주식이 더 큰 수익률을 보일 때 사람들은 굳이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겠죠. 팔고 주식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가 상승하여 장단기금리차가 확대됩니다.

 

또는 인플레이션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강하게 예상될 때는 금리가 올라가게 되죠. 그렇다면 채권이 새로 발행될 때는 높아진 금리만큼 더 높은 금리로 발행해야 사람들이 채권을 사기 때문에 신규 발행 채권의 금리가 더 높습니다. 굳이 기존 채권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팔아버리게 되면서 금리가 상승하여 차이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4. 그럼 지금은 어떤걸까?

일일단위 장단기금리차 그래프입니다.

코로나 이후 꾸준히 금리차이가 상승, 즉 10년물 국채의 금리가 상승하였습니다.

금리차이의 상승은 경기의 회복과 인플레이션 두가지를 의미한다고 보여지는데요

이때 당시는 유동성이 풀리고 백신으로 인해 경기 회복이 기대가 반영된 것과 유동성 확대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함께 공존해 있지 않나 싶습니다.

 

또한,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다양한 이슈로 인해 금리차이가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하지만 최근 기사에서 JP 모건은 지금의 금리차이 하락이 경기 침체 신호가 아니다 라는 내용의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현재도 의견이 많이 갈리는 것 같네요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97468 

 

JP모건 "美 국채 장단기 금리차 축소, 침체신호 아니다"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차 축소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JP모건이 침체 신호가 아니라는 해석을 제기해 눈길을 끈다.현재 장단기 금리차 축소폭이 크기

news.einfomax.co.kr

 

5. 마무리

저는 현재도 10년물 국채를 들고 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우리가 금리의 변화를 알기 힘들기 때문이죠.

급변하는 시장 속에서도 모두 가지고있는 투자에 대한 철학을 유지하면서도,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FRED에는 장단기금리차 말고도 다양한 자료를 볼 수 있으니 한번씩 들어가셔서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그럼 모두 성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 기본 투자 원칙은 올웨더를 기반으로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그 중에 현금 비중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한국시장에는 투자하지 않고 있는 상황인데요

꾸준히 코스피 시장의 변화는 체크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피의 경우에는 환율에도 영향을 많이 받고, 최근 금리 상승, 카카오의 임원진 주식 매도 사건 등으로 올해 초 3,000에 가깝게 다가섰다가 무섭게 떨어졌습니다.

 

저는 기준선을 2,600으로 봤는데요. 제 기준으로 2,600선에 다가서면 조금씩 현금의 비중을 일부 종목에 매수하자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던 중 다시 코스피가 무섭게 떨어졌고 1/27일 2,700선이 붕괴되었고 저는 1/28일 바로 매수했습니다.

 

종목은 카카오뱅크와 네이버였구요

종목 선택 기준은 실적의 절대적인 값보다는 실적의 상대적인 변화량을 더 많이 체크했습니다.

 

단순히 매출, 영업이익의 절대적인 값보다는

사용 인원의 증가, 매출액의 전년대비 증가율, 영업 이익의 증가율, 순이익의 변화와 같은 실적과 뉴스를 참고했고

 

특히 카카오의 경우에는 최근 이슈로 인해 실적보다 더 많이 떨어져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제가 틀렸을 수도 있지만, 아주 작은 금액으로 매수를 시작했구요. 떨어지면 분할 매수할 생각으로 금액을 투자했습니다.

 

네이버 5 * 302,500 = 1,512,500원 / 카카오뱅크 50 * 39,950 = 1,997,500원

 

다행히 운 좋게도 제가 예상한대로 실적도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예수보호기관이 풀려도 큰 변화가 없어서 상승장을 맛봤습니다. 코스피도 함께 잘 올랐죠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2/02/11/2022021100030.html

 

네이버·카카오 4분기 실적, '커머스-콘텐츠' 쌍끌이

네이버와 카카오가 지난해 각종 플랫폼 규제 이슈에도 불구하고 전사업 부문에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며 호실적을 기록했다. 양사 모두 커머스와 콘텐츠 사업의 고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실적

biz.newdaily.co.kr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209000846 

 

카카오뱅크, 당기순이익 2041억원…전년比 80%↑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전년 동기 대비 79.7% 증가한 2041억원의 순익을 달성했다. 연간 영업수익은 1조649억원, 영업이익은 2569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는 9일 열린 2021년 4분기 및 연간 경영실

biz.heraldcorp.com

 

그러다가 10일 미국 CPI 지수가 발표됩니다.

예측 보다 더 높게 CPI 지수가 나오면서 장이 전체적으로 안좋아지고, CPI 지수가 높게 나오면서

미국 금리 한번에 0.5bp 상승, 연 5회 금리 인상과 같은 말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10년물 금리도 높게 상승하고 주식시장도 많이 침체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저 또한 네이버 카카오뱅크의 실질적인 하락으로 보고 있진 않지만, 어차피 단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매수한 종목이고 전체적인 장이 안좋아서 11일 매도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카카오뱅크 50 * 41,650 = 2,082,500원 / 네이버 5 * 326,500 = 1,632,500 원

약 205,000원 이익을 보았네요. 작은 금액이지만 2주만에 꽁돈 20만원이 생겼습니다.

다시 CMA에 넣어두고 열심히 기회를 봐야 겠습니다.


전반적으로 미국장은 10년물 금리 2%대 진입, 주식도 하락장으로 여전히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지만

크게 투자 원칙은 변한게 없습니다.

 

2월 말에는 저도 다시 현재 투자 종목에 대한 결산을 해봐야 할 것 같네요

 

여전히 장이 혼란스러운 가운데 여러분 모두 성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지 시간 기준 26일 오후 2시, 한국 시간 기준으로는 27일 새벽 3시 30분에 FOMC 성명서가 발표되었네요

안볼 수가 없죠

전체적인 내용을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과 다를 바 없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을 예고했지만, 대부분의 내용이 Hokish, 매파적이었다 라고 보여집니다.

그럼 전체 내용 중에 성명서에서 제가 중요하게 보았던 내용 일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Indicators of economic activity and employment have continued to strengthen
  -> 경제 활동 및 고용 지표는 지속적인 강세를 보여왔다.

 - Supply and demand imbalances related to the pandemic and the reopening of the economy have continued to contribute to elevated levels of inflation.
  -> 팬데믹, 경제 재개와 관련된 수급의 불균형이 계속해서 인플레이션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원인을 경제가 재개되면서 야기된 공급망을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 The Committee seeks to achieve maximum employment and inflation at the rate of 2 percent over the longer run.
  -> 위원회는 장기적으로 2%의 비율로 최대 고용과 인플레이션을 달성하려고 한다.

 - With inflation well above 2 percent and a strong labor market, the Committee expects it will soon be appropriate to raise the target range for the federal funds rate. The Committee decided to continue to reduce the monthly pace of its net asset purchases, bringing them to an end in early March.
  -> 2%를 넘는 인플레이션과 강한 노동시장으로 곧 금리의 목표를 높이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 순 자산 매입의 월별 속도를 계속 줄여 3월 초에 종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양적완화 종료 시점을 3월로 공식 성명을 통해 발표했습니다. 또한 곧 금리 인상을 하겠다는 내용을 통해 예상한 3월에 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에 따른 시장의 변화는 어땠을까요?

 

S&P500 지수입니다. 초기 어느정도 상승하는 조짐을 보이다가 현지시간 기준 성명서가 발표된 오후2시부터 급 하락장이 유지되어 결국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나스닥도 별반 다를바 없네요. 상승했다가 오후2시부터 떨어졌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범위 안에서의 FOMC 결과 였지만, 여전히 매파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시장도 안좋게 흘러갔다라고 보여집니다.

그럼 모두 성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국 금리와 주가의 상관관계를 직접 데이터로 가지고와 표로 한번 만들어 비교해보았습니다.

 

직접 만들어보고 표로 보는게 공부도 더 될 것 같았습니다.

 

2022년 금리 인상이 예고되어 있죠

 

금리 인상에 따른 주식, 채권, 달러의 변화에 관한 글도 한번 적었습니다.

https://room9.tistory.com/47

 

금리 인상 이유? 금리 인상에 따른 주식, 채권, 달러의 변화?

안녕하세요 최근 FOMC 의사록에서 금리 인상 뿐만 아니라 양적 긴축과 같이 시장을 얼어붙게 하는 뉴스가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고, 그로 인해 시장 또한 많이 흔들리고 있는데요 아직 저 또한 주

room9.tistory.com

 

그럼, 금리가 오르면 정말 주식이 떨어질까요?

 

표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데이터를 받아 작성했습니다.

1. 미국 금리

 - FRED에서 제공하는 FED 기준금리 데이터를 가지고 왔습니다. 1954년부터 데이터를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 주소 : https://fred.stlouisfed.org/series/FEDFUNDS

 

Federal Funds Effective Rate

Sourc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US)   Release: H.15 Selected Interest Rates   Units:  Percent,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Monthly Notes: Averages of daily figures. For additional historical federal funds rate data, p

fred.stlouisfed.org

2. 주식

 - 저는 SPY ETF에 투자하고 있으므로 SPY ETF 데이터를 가지고 왔습니다. 구글링 해보니 yahoo finance에서 1993년 데이터부터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서 그 자료를 가지고 왔습니다.

 - 주소 : https://finance.yahoo.com/quote/SPY/history?period1=728524800&period2=1642464000&interval=1mo&filter=history&frequency=1mo&includeAdjustedClose=true 

 

SPDR S&P 500 ETF Trust (SPY) Stock Historical Prices & Data - Yahoo Finance

Discover historical prices for SPY stock on Yahoo Finance. View daily, weekly or monthly format back to when SPDR S&P 500 ETF Trust stock was issued.

finance.yahoo.com

 

3. 결과표

미국 금리와 SPY ETF 표

1. ~2000년도

그 전까지는 경제 호황기였기 때문에 주식은 지속적으로 상승합니다. 금리와 주식과의 상관관계가 딱히 없어 보이네요.

1999년, 닷컴버블이 일어나는 시기 전에 경제 호황으로 지속적으로 금리가 상승했었습니다.

결국 닷컴버블이 터지고 주가가 하락하고, 금리도 경제를 살리기 위해 하락했습니다.

 

2. 2000 ~ 2008년도

경제를 살리기 위해 금리가 꾸준히 하락해서 1%p 까지 하락했네요.

유동성이 공급되면서 주식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죠

경제가 다시 살아나면서 금리를 올리기 시작합니다.

금리가 올라도 한동안은 주식 역시 지속적인 상승장을 유지합니다.

 

3. 2008년 ~ 2020년

2008년 리만 브라더스 사태로 주식이 폭락하고, 이에 대한 대처로 금리를 낮추는 모습이 보여집니다.

이후에는 장기적인 저금리 시대였습니다.

유동성이 확대되자 다시 주식이 꾸준히 상승합니다.

경제가 살아나면서 약 2016년도부터 다시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네요

하지만, 금리가 올라도 주식은 멈출줄 모르고 지속적으로 상승합니다.

이후 코로나가 터지면서 주가가 폭락하고, 이에 대한 FED의 대처로 금리를 급격하게 낮춥니다.

 

4. 2020년 ~ 

금리를 낮춰 유동성을 미친듯이 공급하자 주가가 미친듯이 상승하여 지속적으로 사상 최고치를 갱신합니다.

또한, 최근 여러 지표들이 다시 완전 고용과 경제가 정상 회복이 된 것으로 나타나지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FED는 현재 2022년 금리를 3~4회 인상할 것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 값을 통해 금리가 변화할 때 주가는 어떻게 변하는지 아래와 같이 유추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1. 금리가 하락하면, 유동성이 확대되어 대체적으로 경제가 성장하여 주가가 상승한다.

 

2. 금리가 상승하면, 무조건적으로 주가가 하락하진 않는다.

2004~2008년, 2016 ~ 2019년을 보면 금리가 상승했음에도 주식도 함께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즉, 금리가 하락하면 유동성이 확대되어 주가가 상승해준다. 하지만 금리가 상승한다고 반대로 무조건 주가가 하락하지는 않는다.

그러다가 금융 위기, 코로나와 같은 버블 혹은 경제에 충격을 주는 상황이 생겼을 때 더 큰 조정을 맞이한다.

 

제 생각은 금리가 상승하는 2022년 시기에 무조건적인 주가 하락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상승하면서 실적이 받쳐주지 못하거나 혹은 코로나의 신종 변이, 밈 주식과 같은 버블이 껴있는 주식의 경우에는 이번 금리 상승 시기에 조정을 맞을 수도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 시작 장도 주식도 전체적으로 많이 빠지고 10년 국채 금리도 계속 오르고 있네요

모두 오늘도 성투하시는 하루 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